가상자산 시장에서는 가격이 급등한 뒤에 급락하는 패턴을 보이는 펌프앤덤프라는 시세조종 현상이 자주 관측됩니다. 가상자산에 투자해보신 분들은 이러한 현상을 아마도 자주 목격했을 것입니다. 텔레그램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코인을 홍보하거나 물량을 대량으로 구매해 인위적으로 가격을 상승시킨 후, 작전세력이 오른 가격에서 이를 갑작스럽게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투자자들의 피해를 초래하고 시장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국내 업체가 발행하거나, 국내에서 주로 거래되는 일명 김치코인은 펌프앤덤프의 타깃이 되기 쉽습니다. 다른 대규모의 가상자산 보다 유동성이 낮고 시가총액이 낮기 때문에 시세를 조종하는데에 어려움이 없기 때문입니다. 한국금융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김치코..